2022년 배우자·자녀있는 25∼39세 비중 33.7%…1년 만에 2.4%p↓
통계청, 25∼2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특성 분석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취업자 비중이 작고 소득 수준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남성은 상대적으로 자산·소득이 더 높아 대조를 이뤘다.
통계청은 10일 이런 내용의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통계를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지난 11월 1일 기준 국내 상주하는 25∼39세 내국인 청년들이다.
◇ 혼인 연령대 청년 유배우자 비중 33.7%…'무자녀' 취업자 비중 더 높아
2022년 25∼39세 청년 중 배우자가 있는 비중은 33.7%로 전년보다 2.4%포인트(p) 하락했다.
성별로 보면 여자가 40.4%로 남자(27.5%)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 7.9%, 30대 초반 34.2%, 30대 후반 60.3%였다.
유배우자 비중은 수도권(31.7%)이 비수도권(36.1%)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세종이 51.4%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25.0%로 가장 낮았다.
유배우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73.9%로 무배우자(7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성별로 보면 남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유배우자(91.1%)가 무배우자(73.5%)보다 높은 반면 여자는 유배우자(61.1%)가 무배우자(71.8%)보다 낮았다. 여성의 혼인 직후 경력 단절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25∼39세 상시 임금근로자 청년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가 4천56만원으로 무배우자(3천220만원)보다 더 많았다.
성별로는 남자는 유배우자(5천99만원)가 무배우자(3천429만원)보다 높았지만, 여자는 무배우자(3천13만원)가 유배우자(2천811만원)보다 더 높았다.
주택 소유 비중 역시 유배우자가 31.7%로 무배우자(10.2%)보다 더 컸고 남녀 모두 유배우자가 무배우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택소유자의 주택자산 가액은 무배우자가 1억5천만원 이하 구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 유배우자·자녀 여성 소득 낮아…솔로 청년 절반 부모와 동거
2022년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74.7%로 전년보다 0.9%p 하락했다.
자녀 수별로 보면 '자녀 없음'이 25.3%, '자녀 1명'이 38.0%, '자녀 2명'이 31.6%, '자녀 3명 이상'이 5.1%를 차지했다.
유배우자 청년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모든 연령대에서 자녀가 있는 경우(72.1%)가 무자녀(79.1%)보다 더 낮았다.
유자녀 여성의 취업자 비중(58.5%)이 무자녀(69.7%)보다 더 낮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남성은 유자녀의 취업자 비중(91.7%)이 무자녀(89.4%)보다 더 높았다.
유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자녀가 4천98만원으로 무자녀(3천982만원)보다 높았다.
다만 남자는 유자녀(5천293만원)가 무자녀(4천678만원)보다 높았지만, 여자는 유자녀(2천580만원)가 무자녀(3천255만원)보다 낮아 차이를 보였다.
주택 소유 비중은 남녀 모두 유자녀(34.4%)가 무자녀(23.8%)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주택소유자의 주택 자산 가액도 '3억원 초과 비중'이 유자녀 청년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배우자가 없는 청년 중 부모와 동거하는 비중은 50.6%로 전년보다 1.3%p 하락했다.
무배우자 청년 중 등록취업자 비중은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가 68.5%로 비동거(77.2%)보다 낮았고 연간 중위소득도 2천932만원으로 비동거(3천553만원)보다 적었다.
주택 소유 비중도 부모와 동거하는 무배우자 청년이 6.5%로 비동거(14.1%)보다 낮게 나타났다. 세종=연합뉴스
저작권자 ⓒ 결혼정보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