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거 부담 완화를 통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에 나섰다. 양 기관은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내 집 마련을 통한 저출생 위기 공동 대응’을 주제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청년층과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이 안정된 주거 환경에서 결혼과 출산을 결정할 수 있도록 주택금융 지원을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택금융공사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대출상품 개발과 보증 지원을 강화하고, 위원회와 함께 가족친화 정책과 홍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안정된 주거는 결혼과 출산, 양육의 필수 조건”이라며 “이번 협약이 다양한 주거 수요를 반영한 금융지원의 기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경환 주택금융공사 사장도 “주거 불안 해소를 통해 청년과 가정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미혼 청년들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 중 1위는 ‘주택 마련 자금 부족’(31.3%)이었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한 기혼 청년의 절반 이상(55.7%)이 입주 후 출산 의향이 높아졌다고 응답해 주거 지원이 출산 결정에 직결됨을 보여줬다.

이번 협약은 저출산 대책이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어, 주거·고용·육아 환경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 대응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