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향후 1년 안에 ‘대리임신 로봇’이 세상에 공개될 전망이다. 중국 로봇 개발업체 카이와 테크놀로지(Kaiwa Technology)는 최근 전 과정 임신을 구현할 수 있는 인공자궁 기반 로봇의 프로토타입을 제작 중이며, 내년 안에 첫 시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로봇은 인간형 구조에 인공자궁 시스템을 결합해 수정 단계부터 출산까지의 과정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개발을 이끄는 장치펑 박사는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출신으로, “현재 핵심 기술 완성도가 상당히 높아졌으며, 상용화를 위한 막바지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예상 판매 가격은 10만 위안(약 1400만 원) 이하로 책정될 전망이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최대 SNS인 웨이보에서는 1억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다. 일부 네티즌들은 불임 부부나 임신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엄마와 아이 사이의 정서적 유대가 사라질 수 있다”거나 “생명과 윤리에 대한 심각한 질문을 던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인간 태아 발달 과정에서 필요한 호르몬, 면역 반응, 신경 발달 등의 복잡한 생리적 작용을 로봇이 완벽히 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기술적으로는 흥미롭지만, 상용화 과정에서 법적·윤리적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카이와 테크놀로지는 앞으로도 인공자궁 및 로봇 기술의 융합을 통해 의료·복지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이번 개발이 인류의 번식 방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여전히 논란 속에 지켜봐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