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결혼과 출산을 앞둔 가정의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다양한 혜택을 내놓으면서, 그동안 ‘부담’으로만 여겨졌던 결혼과 출산이 이제는 새로운 기회로 인식되는 분위기다.
서울의 직장인 김 모 씨는 청약 가점이 부족해 내 집 마련을 포기했지만, 결혼 후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통해 아파트에 당첨되면서 삶이 바뀌었다. 쌍둥이 임신 소식까지 더해지자 신생아 특례대출과 다자녀 우대 혜택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그는 “결혼이 없었다면 꿈꾸지 못했을 집과 혜택을 누리게 됐다”며 달라진 현실을 전했다.
실제 통계도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한다. 2024년 혼인 건수는 22만2000건으로 전년보다 2만9000건 늘었으며, 올해 들어서도 17월 누계 기준 14만7804명을 기록,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그동안 줄곧 하락세였던 혼인·출산 지표가 반등세를 보이는 것이다.
매경이코노미가 정리한 지원책은 주거, 금융, 세제, 출산·양육 등 전방위에 걸쳐 있다. 주거 부문에서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이 민영주택의 23%까지 확대되고, 신혼희망타운 입주 기회도 늘었다. 금융 부문에서는 신생아 특례대출과 다자녀 대출 우대 금리가 적용돼 출산 가정의 부담을 줄이고 있다. 세제 혜택 역시 출산·양육 공제와 다자녀 소득공제 강화로 실질적인 세 부담을 낮춘다. 여기에 산후조리 지원금, 보육료 및 양육수당 등 다양한 육아 지원책까지 더해져 신혼과 출산 가정의 생활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다만 혜택이 여러 부처와 지자체에 흩어져 있어 수혜 대상자가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정책 홍보와 안내 창구를 일원화해 정보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혼과 출산은 여전히 큰 결심이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실질적인 도움으로 체감되기 시작하면서, 예비부부와 신혼부부들에게 결혼과 출산이 ‘복(福)’으로 다가오는 사회적 변화가 서서히 자리 잡고 있다.
결혼하면 달라진다. 복터지는 신혼, 출산 (스페셜리포트) 매경이코노미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