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 가구가 처음으로 1,000만 세대를 넘어섰다. 전체 세대의 42%에 달하는 규모로, 4가구 중 1가구 이상이 ‘나 홀로 가구’라는 의미다. 이는 가족 단위 사회 구조가 빠르게 해체되고 있으며,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인구 흐름과 직결된다.

특히 2030세대의 결혼 지연·비혼 현상이 두드러진다. 주거·고용 불안, 높은 결혼 비용, 육아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결혼하지 않는 선택’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와 맞물려 출산율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024년 합계출산율은 0.7명대로 추락했으며,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증가는 단순한 생활 방식 변화가 아니라 인구 절벽을 앞당기는 구조적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정부 역시 비혼 확산과 저출산을 연계한 정책 고민에 나서고 있다. 주거비 지원, 돌봄 체계 확충, 청년층의 안정적 일자리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그러나 단순한 출산 장려금만으로는 변화된 사회적 가치관을 되돌리기 어렵다. 개인의 삶의 질과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결혼과 양육이 불이익이 되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1인 가구 1000만 시대는 더 이상 통계적 수치에 머물지 않는다. 고독사, 노후 빈곤, 인구 감소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동반하는 경고음이다. 비혼과 저출산이 맞물린 구조적 도전을 해소하기 위해선, 국가와 사회가 기존의 가족 중심 정책을 넘어 다양한 삶의 방식을 포용하는 전환적 해법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