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2025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출생아 수는 2만2천369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천780명(8.6%) 늘었다. 지난해 7월부터 이어진 증가 흐름이 15개월째 지속된 것으로, 9월 기준으로는 2020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3분기(7∼9월) 출생아 수는 6만5천3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3천767명) 증가했다. 증가 폭은 작년 3분기의 4천507명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1∼9월 누계 출생아는 19만1천40명으로 2007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올해 연간 출생아 수가 지난해(23만8천317명)를 넘어설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합계출산율 역시 상승 흐름을 보였다. 9월 합계출산율은 0.85명으로 전년 대비 0.16명 올랐고, 3분기 기준 0.81명으로 0.04명 증가했다. 특히 출산을 견인한 연령대는 30대로 나타났다. 3분기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은 25∼29세가 미세하게 감소(-0.1명)한 반면, 30∼34세는 2.4명, 35∼39세는 5.3명 증가했다.

출산 증가의 선행지표인 혼인도 30대를 중심으로 뚜렷한 반등 흐름을 보였다. 9월 혼인 건수는 1만8천462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1%(3천95건) 증가해 9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3분기 혼인 건수는 작년보다 6천600건(12.8%) 늘어난 5만8천305건으로 집계됐다.

연령별 혼인율 또한 남녀 모두 30대 초반에서 증가폭이 가장 컸다. 1∼9월 누적 혼인 건수는 17만6천178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만4천417건(8.9%) 늘며 회복 흐름을 유지했다.

반면 이혼은 소폭 감소했다. 올해 3분기 이혼 건수는 2만2천98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건(0.5%) 줄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8만5천51명으로 4천479명(5.0%) 감소했다.

다만 전체 인구는 여전히 자연 감소 국면에 있다. 3분기 자연증가(출생아-사망자)는 -2만11명으로, 24분기 연속 인구가 줄었다. 감소 폭은 1·2분기보다 축소됐지만 인구 감소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

#결혼정보신문 #결혼 #출산 #혼인 #인구 #국가데이터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