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청년 세대의 연애·결혼 포기 현실을 언급하며 기성세대의 책임을 인정하고 공개적으로 사과했다. 19일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서 대통령은 청년들과 마주 앉아 현실적인 고민과 불만을 들은 뒤, 세대 간의 구조적 문제를 솔직히 인정했다. 그는 “청년들이 연애도, 결혼도 포기하는 상황이 됐다”며 “여러분 잘못이 아니다. 기성세대가 미리 예측하고 대책을 세우지 못한 잘못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미안하다”는 짧지만 무거운 사과를 덧붙였다.
대통령의 발언은 단순한 위로의 차원을 넘어, 청년들의 삶을 옥죄는 구조적 불평등을 제도권이 공식 인정한 사례로 평가된다. 청년 세대가 연애와 결혼, 나아가 출산까지 포기하는 현상은 ‘N포세대’라는 사회적 낙인을 남겼고, 이는 곧 저출산과 인구 위기라는 국가적 과제로 연결된다. 대통령은 일자리 불안정, 저성장 고착화, 주거 불안, 기회의 부족 등을 청년들이 직면한 핵심 요인으로 꼽으며, “이제라도 국가가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현장에 모인 청년들은 대통령의 발언에 공감하면서도, 말뿐인 사과가 아니라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일부 청년은 “공감해주는 건 고맙지만 생활이 바뀌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고, 다른 청년은 “사과보다 더 중요한 건 실행력 있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한국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은 주거비 폭등, 불안정한 노동시장, 교육·보육 부담 등 복합적 문제와 얽혀 있어 단순히 인식 개선이나 금전적 지원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정치권과 사회 일각에서는 이번 사과가 향후 청년 정책 방향을 가늠할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층 지지율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직접 고개를 숙인 것은 진정성 있는 접근으로 평가되지만, 동시에 “이미 늦었다”는 회의적인 반응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청년 문제는 단순한 복지정책 차원이 아니라 구조개혁을 필요로 한다”며 “주거 안정,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교육·돌봄 시스템 확충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발언은 청년과 기성세대 간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적 신뢰 회복을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청년 세대가 실제로 변화를 체감하지 못한다면 대통령의 사과는 일회성 제스처로 그칠 수 있다. 결국 관건은 앞으로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놓고, 그것이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달려 있다. 대통령의 말처럼 청년들이 잘못이 아니라면, 이제는 사회 전체가 책임을 나누고 행동으로 보여줄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