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4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혼인 건수는 2만39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83건(8.4%) 늘어난 수치로, 2016년(2만1,154건) 이후 9년 만에 7월 기준 최대치다. 특히 7월 혼인 건수가 2만 건을 넘어선 것은 2018년(2만91건) 이후 7년 만으로, 장기간 이어진 감소세 속에서 나타난 이례적인 반등이다.
올해 1~7월 누적 혼인 건수도 13만8,267건으로 집계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00건(7.3%) 증가했다. 최근 수년간 혼인 건수가 매년 줄어드는 추세였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 들어 나타난 상승세는 뚜렷한 변화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시기 미뤄졌던 결혼이 뒤늦게 반영된 ‘기저 효과’와 함께, 경기 회복과 금융·주거 지원 정책, 그리고 청년층의 결혼 적기 재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한다.
주목할 부분은 혼인 증가와 함께 출산율 회복세도 동시에 관찰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은 출생아 수가 12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고 밝혔다. 비록 출산 연령은 여전히 30대 중후반에 집중돼 고령 출산의 위험은 커지고 있으나, 혼인 자체가 늘어나면서 출산 절대 규모도 점차 확대되는 양상이다. 혼인과 출산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지표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 문제 해결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단순한 수치 개선을 지나치게 낙관하는 것은 이르다. 청년층의 주거 불안과 고용 불안정, 과중한 육아 비용은 여전히 결혼과 출산을 가로막는 현실적 장벽이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전세 가격은 30주 이상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다. 결혼을 선택한 젊은 세대가 안정적으로 가정을 꾸릴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번 혼인·출산 반등도 일시적 현상으로 끝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관계자는 “혼인 증가가 단기적 반등에 그치지 않고 출산으로 이어지려면, 주거 안정과 보육 지원, 일·가정 양립 정책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사회 전체가 결혼과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 국민연금 출산 크레딧 사전 제공, 출산 축하금 확대 등 다양한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이번 7월 통계는 단순히 혼인이 늘어난 것을 넘어, 출산율 반등과 맞물려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 변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혼인과 출산 모두에서 ‘회복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지금, 이 흐름을 장기적 추세로 정착시킬 수 있을지가 향후 인구 정책의 최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