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호텔이 국가 행사로 인한 결혼식 취소를 통보했다가 이를 번복하는 일이 벌어지며 큰 혼란이 빚어졌다. 애초 호텔은 오는 11월 초 결혼식을 앞둔 일부 고객에게 “국가 외빈 행사가 예정돼 있어 예식을 진행할 수 없다”며 일방적으로 취소나 일정을 변경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불과 보름 만에 중국 측의 전체 대관 요청이 돌연 취소되면서, 호텔은 다시 “계약대로 예식을 치를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 9월 중국 측이 신라호텔의 객실과 연회장을 모두 사용하겠다는 대관 요청을 하면서 시작됐다. 호텔은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이미 예약된 고객 결혼식의 취소를 통보했지만, 중국 측이 갑작스럽게 계획을 철회하면서 사태가 꼬였다. 예식을 준비해 온 예비부부와 가족들은 일정과 비용, 하객 안내까지 모두 다시 조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호텔 측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상안을 제시했다. 일정 변경과 취소로 발생한 비용을 지원하고, 예식비 전액 환불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고객들의 상실감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다. 결혼식은 단순한 계약이 아닌 일생일대의 행사라는 점에서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국가 행사와 민간 계약 충돌’의 문제를 드러냈다고 분석한다. 대형 호텔은 외교 수요와 일반 고객 예약을 동시에 감당하는 만큼, 위기 상황에서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할지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라호텔이 내놓은 보상책이 얼마나 실효성을 가질지, 또 소비자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이번 논란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