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오는 **10월 22일부터 실시하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에 ‘결혼 의향’과 ‘비혼 동거’ 항목을 새로 포함시켰다.
이번 조사는 우리 사회의 가족 형태가 급격히 다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하고, 청년 세대의 결혼관·가족관 변화를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 조사의 핵심은 “가족 돌봄, 결혼 의향, 다문화 가구의 언어 사용” 등 기존 인구·주택 지표에서 한층 확장된 사회·문화적 변화를 담았다는 점이다.
그동안 인구주택총조사는 가구 구성, 주택 형태, 거주지 이동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나, 올해부터는 **‘가족의 의미’와 ‘결혼의 선택’**을 묻는 항목이 추가되며 실질적 생활 변화를 반영하게 됐다.
특히 가구주와의 관계 항목에 ‘비혼 동거’ 범주가 신설됐다. 이는 법적으로 혼인하지 않았지만 동거 형태로 함께 생활하는 가구가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통계청은 이번 문항을 통해 **‘결혼하지 않아도 가족으로 살아가는 형태’**를 처음으로 공식 통계에 담는다.
다문화 가구·외국인 가구에 대해서는 가정 내 사용 언어와 한국어 실력을 함께 조사해, 다문화 가족의 사회 적응과 언어 지원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는 가족 돌봄 시간도 측정한다. 가구 내 돌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돌봄 부담이 특정 성별이나 세대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돌봄 지원·가족 복지 정책의 방향을 설정할 계획이다.
김서영 국가데이터처 인구총조사과장은 “(결혼) 의향을 물어봄으로써 향후 젊은 세대가 어떤 형태의 가구를 구성할지 파악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결혼장려, 가족돌봄 정책 등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인구주택총조사는 전국 약 2300만 가구를 대상으로 10월 22일부터 11월 11일까지 인터넷·모바일 조사, 이어 11월 12일부터 25일까지 방문조사로 진행된다.
통계청은 올해 조사를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사회 구조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가족지도 작성 사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변화가 단순한 통계 갱신을 넘어 “결혼이 의무가 아닌 선택으로 변한 시대의 사회학적 전환점”이라며, 향후 결혼정책·주거복지·돌봄지원 등 전방위 정책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